슬기로운 장학생 생활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까지 거의 전액장학금으로 학교를 다니고 있습니다. 국가장학금과 중앙사랑을 받진 못하지만, 여러 루트로 장학금을 받아왔습니다.
이 글은 장학금을 받기위한 팁들이 있습니다.
주관적인 내용이 담겨있으므로, 감안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10분위라서 중앙사랑과 국가장학금을 받아본적이 없습니다. 저와 같은 처지의 학우들은 어떻게 장학금을 탈 수 있을까요?
1. 교내장학금
교내에선 3가지의 대표적인 장학금이 있습니다. 성적장학금, 역량강화장학금, 미래설계장학금입니다.
첫번째로, 성적장학금입니다. 성적장학금은 전체 10%안에 들으면, 60만원 정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다음학기 내야할 등록금에서 빠집니다. 또한, 1등을 하면 약 130만원 정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아직 등록금을 채우기엔 부족합니다.
두번째로, 역량강화장학금입니다. 레인보우시스템의 마일리지점수와 성적점수를 함께 고려하여 지급합니다. 약 50만원 정도의 장학금을 통장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각 단과대마다 그 기준이 다르므로, 홈페이지를 참고하셔합니다. 뽑는 인원이 많지 않다는 점이 단점입니다. 하지만, 마일리지만 많이 쌓는다면 누구나 쉽게 받을 수 있습니다. 성적도 일정 점수만 넘어가면 모두 만점이므로, 마일리지가 중요합니다!
최근에 긱사 청소로 300점을 매달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런 것도 활용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세번째로, 미래설계장학금입니다. 미래설계장학금은 취창업, 역량 개발, 자격증 취득 등 다양한 목적의 활동금을 지원하는 장학금입니다. 기본 100만원을 통장으로 지급합니다.
지원서 작성 및 면접이 있지만, 경쟁률이 높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도 지원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이상 교내장학금입니다. 현재까지 모두 받아도 여려분은 전액장학생이 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저희는 외부장학금을 봐야합니다.
2. 외부장학금
8분위 이내인 학우분들은 많은 장학금에 지원가능합니다. 하지만 9, 10분위 학우분들은 그렇지 않겠죠. 저도 이에 해당합니다. 몇가지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첫째로, 중앙대 포탈 장학부분 확인하기.
이는 가장 중요합니다. 저희가 신청할 수 있는 장학금의 대부분은 이곳에서 찾아야합니다. 지원자격을 확인하시고, 실패를 두려워하지마시고 시도해보세요. 장학금도 받는 사람이 계속 받습니다. 항상 시도하다보면, 자신의 글과 면접실력이 느는것을 알 수 있을거에요.
일주학술문화재단과 같은 일부 재단은 소득분위를 안봅니다. 따라서 9분위와 10분위 학생도 도전해보시길 바랍니다!
둘째로, 대외활동으로 장학금 타기.
필자는 삼성 금융인성교실 멘토링 등 다양한 멘토링에 참여하였습니다. 학생들을 멘토링하면서, 많은 장학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추천합니다.
링커리어에서 '멘토링'을 검색하셔서 자주 확인해보세요. 장학금을 주는 활동은 굉장히 자주 있습니다!
이런 멘토링 활동은 평균 100만원 이상의 장학금을 받습니다.
세번째로, 각 단과대에 맞는 장학금을 확인해보기입니다. 생공대의 경우 농어촌 희망재단의 장학금을 통해 2학년까지 학기마다 25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자소서와 계획서를 잘 쓰면 되며, 합격할 수 있는 글을 쓰는 방법이 거의 정해져있습니다. 만약 생공대 학우분들의 관심이 크면 추후 작성해보겠습니다.

이렇게 외부장학금도 함께 받으시면, 전액장학생이 되실 수 있습니다. 사실 처음볼때는 많이 어려워보일 겁니다. 저도 그랬습니다.
하지만, 중요한건 도전해보는겁니다. 저도 '나는 안될거야..'라고 생각해서 포기한 장학금들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의외의 재단에서 저를 지원해준 적도 있습니다.
처음 면접을 볼 때, 양옆의 서울대 학생에게 기죽고 긴장해서 말을 절은 적도 있습니다. 자소서의 오탈자로 지적받아 후회한적도 있었고요..ㅎㅎ
그리고 이미 대입을 성공하신 여러분들입니다. 그렇다면, 이번 도전도 훌륭히 잘해내실 겁니다.
제 글이 장학생에게 도움이 되었음 좋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23년에도 여러분의 새로운 도전을 항상 응원합니다!